
1. 개발자 도구를 활용한 웹페이지에 대한 분석 2. 분석한 데이터를 활용한 페이지 요청 3. Workbook 을 활용한 Excel 추출 개발자 도구를 활용한 웹페이지에 대한 분석 최근 크몽을 통해서 문의가 들어온 요청을 대응 했던 과정을 포스팅 하려고 한다. 문의사항은 간결하고 명확했다. 필요한 정보는 제목, 내용, 링크, 가격(추가 요청), 작성일(추가요청) 총 5가지 정보로, 검색결과 목록에서 제목, 링크, 작성일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물건 상세 페이지에서 내용과 가격정보를 크롤링하면 되는 비교적 간단한 크롤링 요청 건 이다. 추가 조건 중 하나는 "판매완료" 여부를 확인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중고나라에서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여 웹페이지에서 동작 상태를 확인해보았다. 검색조건으로 적용할 ..

개인적으로 대학교 시절 컴퓨터 공학과를 나왔다는 점, 그 동안 개발 업무를 해오진 않았지만 대학교 시절이 기억을 되새기면 최근 파이썬 스크립트 작성에 재미를 붙이고 있는 중에 있다. 그 중에 크롤링에 재미를 붙이게 되었고, 특히 다른 측면에 관심을 가지게 된 부동산과의 조합을 생각하게 되었으며 부동산 중에 제 관심은 바로 "상가"!! 제대로 된 상가의 시세를 알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주변의 시세를 함께 알아야 매수하고자 하는 물건의 가치가 주변의 기준 대비 높게 평가되어 있는지 낮게 평가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근처 매물을 검색해보면 수백개의 매물이 검색되며, 각각의 매물에서 제공하는 정보또한 굉장히 많다. 한 지역만 조사하려고 해도 몇시간을 소모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함에 따라 이를 자동화 하기..
- Total
- Today
- Yesterday
- 크롤링
- REST API
- PYTHON
- 부동산
- 파이썬
- eum.go.kr
- 크몽
- 개발자도구
- DICTIONARY
- 매물
- cortarNo
- beautifulsoup
- 네이버쇼핑
- Excel
- 경매
- 네이버 주식
- 네이버
- 네이버 부동산
- 상가
- 대항력있는 임차인
- matplotlib
- 평형정보
- json
- pandas
- 단지정보
- Export
- 아파트
- pyplot
- tkinter
- 경제적 자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