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매와 공매의 매력]
1. 재태크는 위험을 수익과 맞바꾸는 것이다.
2. 재태크라고 모두 같은 위험, 같은 수익이 아니다.
3. 부동산은 덜 위험하고 더 수익이 나는 투자처다.
4. 대출은 투자의 고속도로와 같다.
5. 경매와 공매는 부동산의 도매시장과 같다.
6. 싸게 사는데는 이유가 있다, 두렵고 귀찮은 것이 경매
7. 마인드를 바꾼다면 좀 더 안전한 도매시장에서 투자할 수 있다.
[경매 용어]
경매 site : www.speedauction.co.kr
1. 임의 : 뜻을 위임한다 (계약상, 이자 체납 등)
강제 : 카드 빚, 소송에 의한 경매
2. 물번 : 물건 번호 (사건이 하나인데 물건이 여러개인 경우)
3. 매각기일 : 입찰서 등록하는 날
4. 경매 7계 : 사건처리하는 부서(전화해서 물어볼 수 있음)
5. 용도 : 지금 사용 중 (상가 중 점포-한칸)
6. 법원은 다 입찰기일 -> 입찰기간 없음
7. 소유자와 채무자가 다르다 -> 보증 : 채무자의 재산이 날아갈 수 있다.
8. 매각대상 : 건물일괄매각을 꼭 확인해야 함. (건물을 두고 토지만 매각할 수도 있음)
9. 배당종기일 : 법원에서 배당신청을 받아서 돈 받을 사람들이 와서 받아야 한다.
10. 감정가 : 감정평가사가 판단한 금액(시세랑 완전 다름)
11. 최저가 이상 무조건 사야 함. (한달에 2~30% 가 내려감)
12. 보증금 : 최저가의 10%를 일괄 적용
13. 청구금액 : 경매를 신청한 사람(은행)이 청구한 금액
> 예:건수가 10건이면 해당건이 2억이라도 20억이 청구금액이 산정됨.(은행이 요구하는 금액) -> 그냥 참고
14. 개시 결정 : 경매치는 날짜(판사가 결정하는 날) > 보통 3일 이내에 결정함.
15. 매각결정기일 : 1주일 정도 판사가 판단한 후 결정(허가)
16. 대금지급기한 : 보통 40일 정도 후에 대급 지급
17. 배당기일 : 돈 나눠주는 날 (대금지급기한 이후 1달 이후 쯤 배당완료)
18. 보존등기일 : 최조로 등기부등본이 생긴날 : 준공년도로 생각하면 거의 맞음
19. 유치권 : 제 3자가 부동산에 이익이 되는 일(예를 들어 배관수리공, 인테리어 업체 등)을 한 사람들에게 주는 권리
> 유치할 수 있을 권리 (부동산에 이익이 되는 일을 했으니 그에 대한 보상을 새로운 매수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20. 공동담보 : 여러개의 물건을 하나로 잡아서 담보를 잡음.
21. 토지거래허가구역 : 원래 우리나라는 토지를 마음대로 할 수 있으나, 국가에 허가받고 거래해야 하는 구역
22. 개발행위허가제한구역 : 개발행위를 허가하는 것을 제한하겠다. (일정기간동한 개발하지 못하게)
23. 개발행위제한구역 : 그린벨트와 같이 개발을 할 수 없는 구역
24. 중복사건 : 사건이 겹쳐있다.
> 똑같은 물건이 경매가 중복으로 처진경우
> 보통 경매 걸리면 7~8개월 이상 걸릴 수 있다.
> 경매기간에 이자를 갚아서 경매취소가 되면 다시 경매를 시작한다. (경매 L-C 또 진행해야 함, 채권자 시간 소비)
> 그래서 보통 돈을 받아야 하는 많은 은행들에서 중복으로 경매를 친다.
> 그러나 낙찰자에게는 아무런 상관없다.
25. 대항력있는 임차인 : 권리분석을 통해서 확인 - 돈을 물어줘야하는 임차인이 있음
26. 지분매각 : 1/n 에 대한 0.00001% 의 권리를 가지고 있음.
> 조심해야 한다. 권리를 행하기 어렵다. 사공이 많다.
27. 대지권 미등기 : 00평을 주겠다(등기부등본 등록) => 등기가 되어 있지 않다.
> 서류에 올라가지 않았다. 실제 받을 부분이 있지만 서류상 이슈만 없음. > 실제 현실에서 발생 확률 낮음
28. 임금채권 : 임금채권이라 함은 근로자가 일정한 노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임금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확인해야할 서류들]
- 등기부등본 보는 방법 확인--> 부읽남 유투브
- 건축물대장 : 건축물 히스토리
- 감정평가서 : 사실상 투자자에게 중요한 지표는 없다. 내부구조도는 잘 볼 필요가 있음
- 현황조사사 : 현재의 상황을 조사한 문서
> 법원직원이 현재의 상황을 보고 조사한 내용
- 매각물건명세서 : 남아서 낙찰자가 떠안아야 할 건 ---> 확인 필요
- 기일내역 : 입찰 히스토리
- 문건처리내역 : 경매 시작 이후, 문서가 오갔던 모든 히스토리
- 전자지도 확인
- 지적도 : 번지수로 다 쪼개져 있음, 색깔로 나눠져있음.
> 노란색 : 주거지, 분홍색 : 상업지역, 녹색 : 녹지지역, 파란색 : 공업지역
'투자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 1장 건물을 지을 수 있는 토지인가? (0) | 2022.03.22 |
---|---|
[부동산] 토지투자 - 농지연금 활용하기 (0) | 2022.03.21 |
상가 첫 임장후기 남깁니다. (광명 하안동) (0) | 2022.02.06 |
[경매] 내 집 마련을 위한 준비 (3) (0) | 2021.02.17 |
[경매] 내 집 마련을 위한 준비 (2) (0) | 2021.02.16 |
- Total
- Today
- Yesterday
- DICTIONARY
- eum.go.kr
- Export
- PYTHON
- beautifulsoup
- 평형정보
- matplotlib
- 네이버 부동산
- tkinter
- 단지정보
- REST API
- json
- 부동산
- Excel
- pyplot
- 아파트
- 상가
- 크몽
- 네이버 주식
- 매물
- 대항력있는 임차인
- 개발자도구
- 경제적 자유
- pandas
- 경매
- cortarNo
- 크롤링
- 네이버
- 네이버쇼핑
- 파이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